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보안기사

[정보보안기사] 위험 분석 접근법 비교 및 장단점 정리

728x90
반응형

보안 위험 분석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존재한다. 조직의 환경과 목적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베이스라인 접근법

개념: 기존의 보안 표준과 규정을 기반으로 최소한의 보안 요구사항을 설정하는 방식

장점: 빠르고 간단함, 법규 준수 용이, 적용 쉬움

단점: 맞춤형 적용 어려움, 실제 위험 분석 부족, 과잉 혹은 과소 보호 가능성 있음

2. 상세 위험 분석

개념: 자산, 위협,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보안 리스크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방식

장점: 맞춤형 보안 가능, 리스크 우선순위 결정 가능, 비용 대비 효과적인 보안 가능

단점: 시간과 비용 소요 큼, 전문가 필요, 데이터 부족 시 분석 어려움

3. 비정형 접근법

개념: 공식적인 절차 없이 전문가의 경험과 직관을 활용하는 방식

장점: 신속한 의사결정 가능, 유연한 적용 가능, 전문가의 직관 활용 가능

단점: 객관성 부족, 재현성 부족,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어려움

4. 복합 접근법

개념: 여러 분석 방법을 조합하여 조직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

장점: 균형 잡힌 보안 가능, 유연한 적용 가능, 비용과 효과의 균형 유지 가능

단점: 복잡성 증가, 전문가 필요, 일관성 문제 발생 가능

5. 델파이 기법

개념: 익명의 전문가 의견을 반복적으로 수집해 최적의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

장점: 객관성 확보, 다양한 전문가의 지식 활용 가능, 합의 도출 용이

단점: 시간 소요 큼, 전문가 수준에 따라 결과 차이 발생, 중립성 훼손 가능성 있음

6. 시나리오법

개념: 미래의 보안 위협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방식

장점: 미래 예측 가능, 위기 대응 능력 향상, 리스크 대비 전략 수립 가능

단점: 완벽한 예측 불가능, 시간과 비용 소요, 적절한 시나리오 선정 어려움

7. 과거자료 분석법

개념: 과거의 보안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사한 위협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방법

장점: 실제 데이터 기반 분석 가능, 반복적 패턴 분석 가능, 비교적 간단함

단점: 새로운 위협 대응 어려움, 데이터 부족 시 활용 제한, 환경 변화 반영 어려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