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38)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SCS] AWS Systems Manager - Inventory와 State Manager AWS Systems Manager Inventory와 State Manager 활용하기AWS Systems Manager(SSM)의 Inventory는 관리형 인스턴스에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상태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설치된 소프트웨어, OS 드라이버, 업데이트 상태, 실행 중인 서비스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nventory 기능과 함께 State Manager를 활용하여 인스턴스 상태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SM Inventory란?SSM Inventory는 EC2 인스턴스 또는 온프레미스 인스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수집 가능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 [AWS SCS] SSM Parameter Store AWS SSM Parameter Store -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성 및 비밀 정보 관리AWS Systems Manager Parameter Store는 애플리케이션 설정과 비밀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서버리스로 제공되며, 확장성, 내구성, 사용의 용이성까지 갖추고 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M Parameter Store의 주요 기능과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SSM Parameter Store의 특징안전한 스토리지파라미터를 암호화해 비밀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AWS KMS(Key Management Servic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버전 관리 지원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할 때마.. [AWS SCS] SSM 자동화 AWS SSM 자동화 -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배포를 위한 완벽 가이드 AWS Systems Manager(SSM)의 Automation 기능은 EC2 인스턴스와 기타 AWS 리소스에서 유지관리 및 배포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M Automation의 개념, 주요 기능, 실행 방법, 그리고 활용 사례를 정리했습니다.SSM Automation이란?SSM Automation은 EC2 인스턴스와 같은 AWS 리소스에서 자주 수행되는 작업을 간소화하고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EC2 인스턴스 재시작AMI(Amazon Machine Image) 생성EBS 스냅샷 생성Automation은 기존의 Run Command와 다르게 인스턴스 .. [AWS SCS] SSM 문서와 SSM Run 커맨드 AWS Systems Manager(SSM) 문서 중심의 활용법 - Run Command로 EC2 관리하기 AWS Systems Manager(SSM)는 다양한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 중심에는 **문서(Documents)**가 있으며, 이를 통해 SSM의 기능을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M 문서를 활용한 EC2 관리와, Run Command를 이용한 HTTP 서버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SSM 문서란?SSM 문서는 JSON 또는 YAML 형식으로 작성되며,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합니다:설명(Description): 문서의 목적을 설명매개변수(Parameters): 문서 실행 시 필요한 입력값 정의단계(Ste.. [AWS SCS] AWS 태그와 SSM 리소스 그룹 AWS 태그와 SSM 리소스 그룹 -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 방법 AWS에서 리소스 관리를 간소화하고, 자동화를 강화하며, 보안을 최적화하려면 태그(tags)와 리소스 그룹(resource groups)의 활용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태그와 리소스 그룹의 개념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 태그란 무엇인가요?태그는 AWS 리소스에 추가할 수 있는 **키-값 쌍(key-value pairs)**입니다. 이를 통해 리소스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고, 특정 기준으로 리소스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태그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리소스 그룹화: 비슷한 속성을 가진 리소스를 그룹으로 묶기.자동화: 특정 조건을 기반으로 작업 자동화.보안: ..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