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38)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6040번 풀이 - 파이썬(python) 6040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3 내 풀이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모범 답안 a, b = input().split() print(int(a)//int(b)) 해설 두 입력값을 정수형으로 입력받은 뒤에 파이썬에서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인 // 연산자를 통하여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6039번 풀이 - 파이썬(python) 6039 : [기초-산술연산] 실수 2개 입력받아 거듭제곱 계산하기(py)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실수 2개(f1, f2)를 입력받아 f1을 f2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실수(f1, f2)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f1을 f2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4.0 2.0 출력 예시 16.0 내 풀이 a, b = map(float, input().split()) print(a**b) 모범 답안 f1, f2 = input().split() f3 = float(f1)**float(f2) print(f3) 해설 map() 함수와 float() 함수를 통하여 입력값을 실수값으로 입력받은 뒤, 파이썬의 ** 연산자를 통하..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6038번 풀이 - 파이썬(python) 6038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거듭제곱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를 입력받아 a를 b번 곱한 거듭제곱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2 10 출력 예시 1024 내 풀이 a, b = map(int, input().split()) print (a**b) 모범 답안 a, b = input().split() c = int(a)**int(b) print(c) 해설 두 입력값을 정수형으로 입력받은 뒤, 파이썬의 ** 연산자를 통하여 거듭제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6037번 풀이 - 파이썬(python) 6037 : [기초-산술연산] 문장 여러 번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반복 횟수와 문장을 입력받아 여러 번 출력해보자. 입력 반복 횟수와 문장이 줄을 바꿔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횟수만큼 입력된 문장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 I love CS 출력 예시 I love CSI love CSI love CS 내 풀이 a = int(input()) b = input() print(b*a) 모범 답안 n = input() s = input() print(int(n)*s) 해설 횟수는 int() 함수를 통해 정수형으로 입력받고, 문자열은 그대로 입력받습니다. 그 다음 print() 함수 내에서 문자열을 입력받은 횟수 만큼 출력해줍니다.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6036번 풀이 - 파이썬(python) 6036 : [기초-산술연산] 단어 여러 번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단어와 반복 횟수를 입력받아 여러 번 출력해보자. 입력 단어와 반복 횟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단어를 입력된 횟수만큼 반복해 출력한다. 입력 예시 love 3 출력 예시 lovelovelove 내 풀이 a, b = input().split() print(a*int(b)) 모범 답안 w, n = input().split() n=int(n) print(w*n) 해설 먼저 변수 a와 b에 입력값을 저장합니다. 그다음 print() 함수를 통하여 문자열 a를 int() 함수로 정수값으로 변환한 횟수 만큼 출력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