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Python)/코드업 기초 100제

(195)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7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7 : [기초-입출력] 년월일 입력 받아 형식 바꿔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년월일을 출력하는 방법은 나라마다, 형식마다 조금씩 다르다. 년월일(yyyy.mm.dd)를 입력받아, 일월년(dd-mm-yyyy)로 출력해보자. (단, 한 자리 일/월은 0을 붙여 두자리로, 년도도 0을 붙여 네자리로 출력한다.) 입력 년월일이 '.'(닷)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년월일을 일월년으로 바꾸어 '-'(대쉬, 마이너스)로 구분해 출력한다. 입력 예시 2014.07.15 출력 예시 15-07-2014 내 풀이 a, b, c = input().split(".") print(c, end='-') print(b, end='-') print(a) 모범 답안 y,m,d..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6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6 : [기초-입출력] 시분초 입력받아 분만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입력되는 시:분:초 에서 분만 출력해보자. 입력 시 분 초가 시:분:초 형식으로 입력된다. 출력 분만 출력한다. 입력 예시 17:23:57 출력 예시 23 내 풀이 a,b,c=map(int, input().split(":")) print(b) 모범 답안 a,b,c=input().split(':') print(int(b)) 해설 input().split(':')을 통하여 시, 분, 초를 구분해서 변수에 넣어줍니다. 그런 다음 분에 해당하는 변수를 print() 함수를 통하여 출력합니다.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5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5 : [기초-입출력] 정수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다섯 자리의 정수 1개를 입력받아 각 자리별로 나누어 출력한다. 입력 다섯 자리로 이루어진 1개의 정수를 입력받는다. (단, 10,000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4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4 : [기초-입출력] 단어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단어를 1개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단어(영어)의 각 문자를 한줄에 한 문자씩 분리해 출력한다. 입력 단어(영어) 하나를 입력받는다. (단, 단어의 길이는 20자 이하이다.) 출력 단어의 문자(영어)를 하나씩 나누어 한 줄에 한 개씩 ' '로 묶어서 출력한다. 입력 예시 Boy 출력 예시 'B' 'o' 'y' 내 풀이 a = list(input()) for i in range(0, len(a)): print("'%s'" % a[i]) 모범 답안 a=input() for c in a: print("'"+c+"'") 해설 이 문제는 입력받은 문자열을 알파벳 한 글자씩 출력하는 문제..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3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3 : [기초-입출력] 실수 1개 입력받아 부분별로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실수 1개를 입력받아 정수 부분과 실수 부분으로 나누어 출력한다. 입력 실수 1개가 입력된다. (단, 입력값은 절댓값이 10000을 넘지 않으며, 소수점 이하 자릿수는 최대 6자리까지이고 0이 아닌 숫자로 시작한다.) 출력 첫 번째 줄에 정수 부분을, 두 번째 줄에 실수 부분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1.414213 출력 예시 1 414213 내 풀이 a,b = input().split('.') print(a) print(b) 모범 답안 a,b=input().split('.') print(int(a)) print(int(b)) 해설 실수 형식으로 주어지는 입력을 정수 부분과 ..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2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2 : [기초-입출력] 문장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공백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입력받고 그대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입력 공백이 포함되어 있는 한 문장이 입력된다. 단, 입력되는 문장은 여러 개의 단어로 구성되고, 엔터로 끝나며, 최대 길이는 2000 문자를 넘지 않는다. 출력 입력된 문장을 그대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Programming is very fun!! 출력 예시 Programming is very fun!! 내 풀이 a=input() print(a) 모범 답안 s=input() print(s) 해설 파이썬은 공백에 상관없이 입력받은 문자열을 모두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rint() 함..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1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1 : [기초-입출력] 단어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1개의 단어를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해보자. 입력 한 단어가 입력된다.(단, 단어의 길이는 50자 이하이다.) 문자를 50개 저장하기 위해서는 char data[51] 로 선언하면 된다. char data[51]=""; scanf("%s", data); 를 실행하면, data[51] 에 한 단어가 저장된다. 출력 입력된 단어를 그대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Informatics 출력 예시 Informatics 내 풀이 a=input() print(a) 모범 답안 a=input() print(a) 해설 입력받은 단어를 그대로 출력하면 됩니다. 파이썬의 input() 함수는 입력을 ..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20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20 : [기초-입출력] 주민번호 입력받아 형태 바꿔 출력하기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주민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XXXXXX-XXXXXXX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yymmdd)이고 뒤 7자리는 성별, 지역, 오류검출코드이다. 주민번호를 입력받아 형태를 바꿔 출력해보자. 입력 주민번호 앞 6자리와 뒷 7자리가 '-'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입력값은 가상의 주민번호이다.) ex)110011-0000000 출력 '-'를 제외한 주민번호 13자리를 모두 붙여 출력한다. 입력 예시 000907-1121112 출력 예시 0009071121112 내 풀이 a,b=input().split("-") c = a+b print(c) 모범 답안 a,b=input().split('..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19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19 : [기초-입출력] 연월일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년, 월, 일을 입력받아 지정된 형식으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입력 연, 월, 일이 ".(닷)"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받은 연, 월, 일을 yyyy.mm.dd 형식으로 출력한다. (%02d를 사용하면 2칸을 사용해 출력하는데, 한 자리 수인 경우 앞에 0을 붙여 출력한다.) 입력 예시 2013.8.5 출력 예시 2013.08.05 내 풀이 a = input() sp = a.split(".") year=int(sp[0]) month=int(sp[1]) day=int(sp[2]) print("%04d.%02d.%02d" % (year,month,day)) 모범 답안 a,b,c..
[CodeUp] 코드업 기초 100제 1018번 풀이 - 파이썬(python) 1018 : [기초-입출력] 시간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시간 제한 : 1초 메모리 제한 : 128 MB 문제 설명 어떤 형식에 맞추어 시간이 입력될 때, 그대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입력 시(hour)와 분(minute)이 ":" 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받은 시간을 "시:분" 형식으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3:16 출력 예시 3:16 내 풀이 a = input() print(a) 모범 답안 h,m=input().split(':'); print(int(h), int(m), sep=':'); 해설 문제의 의도는 모범 답안과 같이 split(':') 으로 변수를 나누어서 저장하고, 다시 :를 붙여서 출력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입력과 출력의 형식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입력받은 문자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