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포렌식 with CTF (91) 썸네일형 리스트형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21 공격자가 다른 PC에 예약된 작업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는 공격자가 job 파일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volatility의 filescan 플러그인으로 job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job 파일은 구글 업데이트와 관한 job 파일 1개와, At1이라는 job 파일 1개 총 2개가 존재합니다. At1.job 파일의 오프셋을 구하였으니 strings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해 보겠습니다. string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보니 C:\users\gideon 폴더에 1.bat 이라는 파일이 존재합니다. 이와 같이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20 #19번까지 cmdscan 명령어로 어떻게 압축 파일을 생성하였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어떤 파일이 압축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conhost.exe 실팽파일은 윈도우에서 실행한 명령어, 입출력 결과 등의 정보를 보관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보겠습니다. 먼저 cmdscan 플러그인으로 conhost.exe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하여 보겠습니다. PID는 3048로 확인됩니다. memdump 플러그인을 통하여 파일을 복구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string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xt 파일로 저장해 주겠습니다. 3048.txt를 열어보겠습니다. 3048.txt에서 .rar로 검색하여서 나오는 내용을 분석해보면, txt 파일 3개가 나옵니다. 이 3가지 파일들이 답이 됩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9 #18번 문제에서 cmdscan 플러그인을 통하여 rar 명령어로 압축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cmdscan 결과를 보면 0xf24d0에 담긴 문장에서 rar 파일의 이름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8 공격자가 암호화하여 압축했다고 하였으니, 어떤 명령어를 사용했는지 cmdscan 플러그인을 사용해보겠습니다. 공격자가 사용한 명령어들이 나옵니다. rar 명령어를 사용하여 압축을 진행했나 봅니다. 그러므로 0xf24d0에 저장된 rar 명령어를 사용한 문장에서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7 이번 문제부터는 Target2-6184fe9f.vmss 파일로 진행합니다. 파일을 다운받고 volatility 폴더에 넣어줍시다. imageinfo 플러그인으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target2 파일도 Windows 7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공격자가 프론트데스크 컴퓨터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덤프하였다고 하니, cmdscan 플러그인으로 사용한 명령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공격자는 C:\Users 폴더에 들어간 뒤 wce.exe 프로그램의 결과를 gideon/w.tmp에 저장했습니다. 그러므로 w.tmp 파일을 덤프해야 합니다. 먼저 filescan 플러그인으로 gideon/w.tmp의 오프셋 값을 알아보겠습니다. 오프셋 값을 구했으니 dumpfiles 명령어로 덤프해 보겠습니다. 현재..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6 공격자가 원격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netscan 플러그인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mstsc.exe 프로세스가 보입니다. mstsc.exe 프로세스는 Windows에서 사용하는 원격 데스크탑 제어 프로그램이므로 이 프로세스가 답이 됩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5 합법적인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를 찾으면 됩니다. volatility의 netscan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인해 봅니다. 메일 프로그램인 OUTLOOK.EXE와 원격 조정 프로그램 TeamViewer.exe가 보입니다.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를 찾으라고 하였으니 TeamViewer.exe가 정답입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4 volatility의 netscan 플러그인을 통하여 멀웨어의 IP와 포트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처럼 멀웨어 프로세스로 발견된 iexplore.exe의 ip 주소를 구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3 공격자가 nbtscan.exe의 결과를 nbt.txt에 저장했다고 했으므로 nbt.txt를 복구해 보겠습니다. 파일을 덤프하기 위하여 nbt.txt의 오프셋 값을 filescan 플러그인으로 찾아보겠습니다. nbs.txt의 오프셋을 구하였습니다. 이제 dumpfiles 플러그인과 -Q 옵션으로 파일을 복구해 보겠습니다. 현재 디렉토리에 파일을 복구해주고, 이를 텍스트 에디터로 열어줍니다. 이렇게 첫 번째 컴퓨터의 IP 주소를 구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포렌식] GrrCON 2015 #12 파일의 MAC 시간은 MFT 파일을 분석하면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volatility의 mftparser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findstr 명령어를 포함해 nbtscan.exe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nbtscan.exe의 타임스탬프를 확인해 보니 생성/수정/접근 시간이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